2020. 1. 31. 12:35ㆍ독서
공부란 무엇인가?^^ 한번 정도는 다 생각해 본 주제 아닐까? 하면서 들었던 책 입니다.
필자의 맺음말에 있는 " 행복은 성적 순이 아니지만, 행복은 공부순이다" 라고 한다면 어느 정도 고개가 끄덕여 지는 이유는 무엇일까요?^^
바로 학생으로써, 직장인 으로써 나는 어떠한 공부를 해왔는지, 지금까지 철저하게 물질적 보상과 사회적 성취를 위한것 아니었나 되물어 봅니다.

결국, 바르게 공부하는 것은 자신의 내면에 찬란한 빛을 되찾게 해 줄 뿐만 아니라 우리 사회 밝은 광명의 핵심이며 이에 우선적으로 필요한 것이 공부의 의미를 회복하는 것 입니다. 이러한 회복의 전재는 바로 욕망의 변혁에서 시작되며, 이를 통해 행복의 기준이 달라 질 수 있기 때문 이죠~ 그러니 행복은 (올바른) 공부순이라 할 수 있겠네요!!!
책의 목차의 흐름도 무척 중요한데 머릿말 부터 결론까지 한자 놓치지 않고 본 멏안되는 책입니다.
서문_ 공부는 내 운명
머리말_ 우리 시대 공부의 일그러진 초상
머리말_ 우리 시대 공부의 일그러진 초상
공부의 목적으로서의 사회적 보상│공부와 출판 시장│암기와 계산으로서의 정신노동│엉덩이가 무거워야 성공한다│스터디와 스터디 공간
1부_ 공부란 무엇인가
1. 동아시아의 ‘공부’
쿵후와 공부│학습과 육체│반복과 행함│바른 몸에 바른 마음│수신에서 평천하로│주자의 공부법│조선의 선비
보론-주리론과 주기론
2. 고대 그리스의 ‘철학’
철학과 필로소피│소크라테스와 필로소피아│너 자신을 알라│진실을 말하고자 하는 용기│철학과 영성 수련│변증법과 영적 수련│관조와 실천의 분리│철학 학당, 철학적 수도원
3. 중세 가톨릭의 ‘수련’
거룩한 독서│평신도와 렉티오 디비나│렉티오 디비나의 네 요소│명상에서 관상으로│렉티오 디비나와 욕망의 변혁│렉티오 디비나와 종교 개혁
보론-기독교 내에서의 정통 개념의 변화
보론-회개와 회심
2부_ 어떻게 공부할 것인가
4. 독서에 토대한 암송
진리를 봄과 진리를 들음│시선과 권력│묵독과 음독│독서, 암송의 전제│독서의 일차 대상으로서의 고전│고전 선택의 기준│고전에 대한 우리의 예의│낭독에서 암송으로│머리에서 마음으로│홀로 또 같이
5. 사유에 토대한 묵상
생각하는 백성이라야 산다│생각에서 묵상으로│상념과 공상│묵상의 기본적 주기│Q.T에서 묵상으로│묵상과 일상│묵상과 일기
6. 우정에 토대한 대화
우정의 비자연성│애정과 낭만적 매력│사람은 외모를 보거니와│우정과 대화│남녀의 성차│대화의 힘│대화의 부적절한 출발점│마음에서 마음으로
보론-위대한 스승과 교육으로서의 대화
보론-종교 간의 대화
맺음말_ 왜곡된 욕망 너머 공부의 길
'독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고민하는 힘 - 강상중 (0) | 2020.02.24 |
---|---|
1시간에 1권 퀀텀 독서법 - 김병완 (0) | 2020.02.06 |
이백 하고도 육십구일 - 로알 칼테스타 (0) | 2020.01.30 |
사람을 살리는 기적의 혈액건강법 (0) | 2020.01.09 |
여행과 독서 - 잔홍즈 (0) | 2020.01.06 |